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567)
17/10/6 러시아 뉴스 헤드라인 1. 5일 사우디-러시아간의 투자 포럼에서 푸틴이 사우디 왕자의 초청에 응대. 조만간 사우디에서 추가 회담할 예정. - 석유 문제 해결하러 부지런히 가야죠.. OPEC의 협의에 관계된 내용일거라 추측합니다. 2. 시리아에 포로로 잡힌 러시아 병사 처형 소식. - 계속 사상자는 늘어나네요. 사진은 희생자 로만 자블로트니 생전 모습 입니다. 3. 러시아 잠수함에서 발사한 미사일이 IS 본거지 요격 - 안그래도 C-400 터키 계약 취소되었던데 러시아도 이 참에 시리아 파병비용 생각하면 부지런히 무기 광고해야죠.. 4. 빠라쉔코(우크라이나 대통령)가 돈바스 지역이 도네츠크주의 영토로서 '일시적인 침략 상태'라는 현안을 헌법에 등재시킬 예정. - 러시아쪽에서도 물론 반발이 적진 않겠죠. 어느정도 반영된 결과라고..
어묵 국물 티백 처음엔 SNS에서만 퍼진 줄 알았는데, 실제로 출시도 고려된다니 완전 기대되네요. 가끔 겨울철 해외 장기 체류하다보면 어묵 정말 그리울때 있는데, 판매 시작하면 완소 아이템 될듯 싶네요. 예전 해외 체류할때 어묵이 너무 먹고 싶어서 밀가루에 생선 살 섞으면 어묵이 될까 싶어 진지하게 고민한적도 많았습니다. 게으름에 한번도 실천한 적도 없지만요; 아무튼 MSG범벅이겠지만 이런거 나온다면 정말 좋을거 같네요.
IS과 미정부간의 지원 증거 '뭐 솔직히 그 동안 IS사태를 미국이 키웠다'라는 증거와 자료는 차고 넘칩니다. 그에 대해서 아랍사태와 미국간의 60-70년대부터 이어져온 테러집단과의 연간관계에 대해서 언급하진 않겠습니다. 그리고 그에 관한 기사 자료와 관련 서적들이 충분히 많으니까요. 제가 제시하고 싶은 문제는, 최근들어 슬슬 러시아 정부의 지원을 받아 본인들의 지역을 되찾고 있는 시리아 정부군과 러시아군의 합동작전에 희생되고 있는 군인들과 민간인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그 동안 끊임없이 제기되어온 '미정부와 IS간의 지원관계' 라는 부분입니다. 글쓰는 저 자신도 시리아전 발발 하기전부터 끊임없이 제기되어온 논란에 대해서, 가정이나 의혹으로 접근하는게 아닌, 사실로 접근하려고 노력했었는데 이게 전쟁의 특수성에 더불어 정부..
2017년 하반기 구글제품 라인업 정리 1. 구글 픽셀폰 (픽셀2, 픽셀2XL) -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탑재 - 픽셀2 -HTC 제조, 픽셀2XL -LG 제조- 5인치, 6인치(POLED)- 이어폰 단자 없음- USB Type C- 픽셀2 64g 가격 649달러, 128g- 749달러- 픽셀2XL 64g 가격 849달러, 128g- 949달러 2. 구글홈 미니, 구글홈 맥스 (AI스피커) 홈미니 - 49달러 홈맥스 - 399달러 - 터치 컨트롤 기능- 3.5 오디오잭 지원- 환경에 맞춰 자동 이퀄라이져, 음량조절 기능 3. 구글 데이드림(VR헤드셋) - 99달러- 지원기기 Pixel 2, the older Pixel, the Galaxy S8, the S8+, the Note 8, the Moto Z, and the Moto Z2- 기존..
17/10/5 러시아뉴스 헤드라인 1. 러시아 외교부 대표인 마리아 자하로바의 언론 발표에 의하면 러시아 전문가들이 뾰뜨르 빠라쉔코의 대법원에 제기한 돈바스 재연합 관련 법안을 놓고 평가를하여 우크라이나 정부에 전달할 예정. - 크림반도까지 손에 넣고 우크라이나까지 어찌해보려는 러시아의 속셈도 알긴 하지만 이미 손을 떠날만큼 떠나고 유럽 비난에 제재까지 먹었으면 그만 손떼도 될텐데 말이죠... 2. 푸틴이 다음 대통령선거에 참석할지 아직 확정을 못하고 있는 상황. - 그만큼 했으면 됐을텐데 말이죠.. 러시아 내에서도 슬슬 푸틴 첫째딸을 정치계에 등용시켜서 또 한번 정권 연장을 생각하고 있다는 음모론도 있긴 하더군요. 다른것보다 알렉세이 나발니의 반발이나 국민들 반발도 심할거라 봅니다. 3. 알렉세이 나발니 (제1야당인물)가 또다시 러시아..
서프라이즈 시베리아 미스테리 홀의 진실 뭐 다들 시베리아 미스터리 홀에 대해서 많이들 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서프라이즈에서도 이미 다룬 내용이기도 하죠. 당시에 각종 언론에서도 다룬 기사이기도 하구요. 이제 저의 흥미는 '러시아 현지에서는 관련 사건을 실제로 어떻게 다루었느냐'는데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좀 뒤늦은 감이 없지않아 있지만, 차근차근 사실 내용을 밝혀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은 알아둬야할것이 이런 미스터리 홀이 생기는 지역이 일부 언론에선 초원이라고 표현했는데, 영상 온도가 1년중 2달정도도 안되는 북극과 가까운 동토 지역입니다. 예, 전 세계 최고의 가스 보유 국가임을 자랑하는 러시아의 주요 가스 채취지역이기도 하죠. 가장 중요한 문제는 이런 미스터리홀 (러시아에서는 크레이터라고 명칭하더군요)이 생기는 원인이겠죠. 2014년도에 생..
17/10/4 러시아뉴스 헤드라인 1. 카탈루냐 주의회 대표인 카를레스 푸치데몬 말을 인용 가까운 시일내에 독립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BBC와의 인터뷰내용에서 발표. 이를두고 유럽연합은 마드리드 의회에 손을 들어줬으며, 국왕인 필리페 6세는 이전에 카탈루냐가 스페인정부에 남고 싶어 할 것이라고 확신했었다고. - 어디나 국왕제든 대통령제든 민심 못 읽는거는 고질병인가 봅니다. 러시아 입장에서도 독립하고 싶어하고 있는곳이 많으니 정부의 결정이 아니라 순수히 주민들에 의한 독립이 이뤄질까 싶어 언론 관심은 많은거 같네요. 2. 다게스탄 주 새 대통령으로 블라지미르 바실리에프 취임식을 준비할 것이라고, 전 주 대통령인 라마잔 압둘라티토프가 언론 발표. - 여기는 뭐... 90년대부터 계속 분리독립 전쟁해오던 곳이니...친러인물 아무리 세워봐야, ..
17/10/3 러시아 뉴스 헤드라인 1. 라스베가스 공연도중 일어난 총기 난사 사건으로 인해 사망자가 현재 58명, 부상자만 500여명으로 추산. - 비록 러시아 사건은 아니지만 워낙 큰 이슈라 적어봅니다. 근 20년간 일어난 총기 사고중 피해자,사망자 수만 최고 수치인거 같은데, 미국은 아직도 총기 소지를 허가하는거 보면 정말 놀라운 나라입니다. 2. 지난 니즈니 노브고라드에서 열린 집회의 총책임자로 알렉세이 나발니가 20일의 구형을 선고. 집회를 금지 시켰음에도 반복적인 행위로 처벌. - 푸틴 정부도 집회의 자유까지 침해하게 되면 중국과 다를바 없게되니 총책임자만 신나게 조지는군요... 나발니도 체포가 계속 반복되다보면 굳이 푸틴이 아니라도 지지자에 의해서 위험해지지 않을까 하네요.... 3. 트럼프가 발표한 제재안과 더불어서 미국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