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트에서는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91년 소련 붕괴이후
러시아라는 국가가 태어난 이후부터의 한국계거나 한국또는 한국인과 관련이있는 러시아
스포츠 스타들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 러시아어로 표기된 이름들은 러시아어에 없는 발음을 표기한것으로 한글로 다시 표기하였습니다.
또한 외모적으로 '한국인의 느낌이 전혀 없는데?' 라고 느끼실 수도 있는게 많게는 고려인 5-6세대까지
생기고 있어 동양인적인 느낌이 전혀 없이 아버지의 성을 물려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1. 콘스탄틴 쥬(코스쨔 주)
러시아 출신의 유명 복서입니다.
2. 알렉 첸(알렉 정)
카자흐스탄 태생으로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는 좋은 기량의 선수입니다.
1988년생
3. 바짐 차이(바짐 채)
4. 표뜨르 쩬(표뜨르 전)
5. 알렉산드르 킴(알렉산드르 김)
79년생 아이스하키 선수.
러시아 국가대표에도 출전을 했던 선수
6. 크리스티나 킴(크리스티나 김)
89년생으로 국제 대회의 경력은 적으나
현재도 활발히 선수 생활중.
7.블라지미르 킴 (블라디미르 김)
2011년 전 러시아 대회 우승 2014년 준우승
1987년생 태권도 선수
8. 빅토르 안 (안현수)
- 이 부분은 모르는 분들 없으니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다시 한국 국적 회복 했죠.
9. 데니스 락찌오노프 (이성남)
- 축구 선수이자 트레이너로 한국에 귀화.
- 1977년 생으로 과거 성남 일화, 수원삼성 팀에서 외국인 선수로 활약
10. 발레리 사리쵸프(신의손)
- 한국으로 귀화한 타지키스탄 출신 골키퍼, 2005년 은퇴.
그 이외에도 구소련 시절까지 올라가면 포스트가 너무 길어질거 같더군요.
소련 체육계의 전설인 넬리 킴도 있고, 미하일 안 등...
셀 수도 없을만큼 많은 전설이 있지만
소련이 워낙 거대했고 컸던 연합국이었기에 러시아만 간략히 추려보았습니다.
의외로 많지 않은가요?
'러시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까지 러시아도 전기 자동차 만든다. (0) | 2019.11.30 |
---|---|
한국차는 진짜 러시아에서 인기가 많을까? (0) | 2019.08.20 |
모 아니면 도의 갈림길에 선 드녜프르,루간스크 주민들 (0) | 2019.04.26 |
러시아는 지금 마슬레니차 축제종료 (0) | 2019.03.10 |
블라디보스토크 여행에 관한 한 러시아인의 견해 (0) | 2019.03.06 |